홈 > 번역의 도구 > 빠알리 공부 (2.초급과정)

빠알리 공부 (2.초급과정)

vijānāti[인식하다]의 격변화에 대한 메커니즘적 이해

vijānāti[인식하다]의 격변화에 대한 메커니즘적 이해
 
viññāya와 viññeyya 그리고 viññātabbā의 의미를 메커니즘 위에서 이해해 보았습니다.
 
• viññāya: having known or learnt. (abs. of vijānāti)
• viññeyya (adj.) [grd. of vijānāti] to be recognized or apperceived (of the sense objects: cakkhu -- viññeyya rūpa, etc.)
• viññātabba: what should be understood. (pt.p. of vijānāti)
 

이때, vijānāti[인식하다]의 절대체(abs)viññāya는 내입처가 중심이 되어 외입처를 인식하고서의 의미를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vijānāti의 미래수동분사 또는 의무분사(grd. = gerundive)viññeyya는 외입처가 중심이 되어 내입처에 의해 인식되어야 하는의 의미를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아래 자료의 그림에 의하면 내입처와 외입처를 조건으로 하는 인식작용에 의해 식()[viññāṇa]을 생겨나게 하는 작용에 대한 설명입니다.

 

절대체(abs)[변하지 않는 형태]와 같은 의미를 가지는 연속체(gerund)[연속되는 시제]는 미래수동분사 또는 의무분사(grd. = gerundive)와 잘 구분하여야 합니다.

 

한편, 당연함에 의한 의무 또는 미래수동의 의미를 가지는 미래분사인 viññātabba는 식()에 의해서 인식되어야 하는 법들로 나타나는데, 내입처와 외입처를 조건으로 하는 인식작용[1차 인식]에서 생겨난 식()[새끼쳐진 식()]에 의한 이어지는 인식작용[2차 인식]에 대한 설명입니다. 즉 내입처와 외입처 그리고 그것들을 조건으로 생겨난 식()의 삼사화합(三事和合) ()에 의해 생겨나서 경험되는 락()-()-불고불락(不苦不樂)의 느낌에 대한 인식작용이어서, viññāṇaviññātabbā dhammā[()에 의해 인식되어야 하는 법()]은 락()-()-불고불락(不苦不樂)의 느낌인 것입니다. 

vijānāti란 동사의 이런 세 가지 격변화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고 할 것인데, 이렇게 삶의 메커니즘 위에서 이루어지는 시각적인 설명은 그 의미를 어렵지 않게 구체적으로 알려준다고 하겠습니다.

 

viññāyaviññeyya1차 인식 과정의 주관과 객관을 수행에 의한 보는 능력의 향상 여부와 관계없이 메커니즘적으로 단순히 설명하는 용례입니다. 반면에 viññātabbā는 보는 능력의 향상을 통한 인식을 위해서 수행해야 한다는 의무-강제-당연의 의미를 담고 있는 용례라고 이해해야 합니다.

 

세 개의 경전에 나타나는 용례를 메커니즘에 의한 그림으로 그려서 설명하였습니다.

 

uddesavibhaṅgasuttaṃ(MN 138)
 
“kathañcāvuso, bahiddhā viññāṇaṃ vikkhittaṃ visaṭanti vuccati? idhāvuso, bhikkhuno cakkhunā rūpaṃ disvā rūpanimittānusāri viññāṇaṃ hoti rūpanimittassādagadhitaṃ rūpanimittassādavinibandhaṃ rūpanimittassādasaṃyojanasaṃyuttaṃ bahiddhā viññāṇaṃ vikkhittaṃ visaṭanti vuccati. sotena saddaṃ sutvā ... pe ... ghānena gandhaṃ ghāyitvā... jivhāya rasaṃ sāyitvā... kāyena phoṭṭhabbaṃ phusitvā... manasā dhammaṃ viññāya dhammanimittānusārī viññāṇaṃ hoti; dhammanimittassādagadhitaṃ dhammanimittassādavinibandhaṃ dhammanimittassādasaṃyojanasaṃyuttaṃ bahiddhā viññāṇaṃ vikkhittaṃ visaṭanti vuccati. evaṃ kho āvuso, bahiddhā viññāṇaṃ vikkhittaṃ visaṭanti vuccati.
 
   • viññāya: having known or learnt. (abs. of vijānāti)
 
어떻게 밖으로 식(識)이 교란되고 흩어졌다고 불립니까?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의 안(眼)으로 색(色)을 보고서 색상(色相)을 뒤따르는 식(識)이 색상(色相)의 매력(魅力)을 붙잡고, 색상(色相)의 매력에 매이고, 색상(色相)의 매력의 족쇄에 묶이면 밖으로 식(識)이 교란되고 흩어졌다고 불립니다. 이(耳)로 성(聲)을 듣고서 … 비(鼻)로 향(香)을 맡고서 … 설(舌)로 미(味)를 맛보고서 … 신(身)으로 촉(觸)을 느끼고서 … 의(意)로 법(法)을 인식하고서 법상(法相)을 뒤따르는 식(識)이 법상(法相)의 매력을 붙잡고, 법상(法相)의 매력에 매이고, 법상(法相)의 매력의 족쇄에 묶이면 밖으로 식(識)이 교란되고 흩어졌다고 불립니다. 도반들이여, 이렇게 밖으로 식(識)이 교란되고 흩어졌다고 불립니다.  
 

용례위치 - viññāya.png

 

puṇṇasuttaṃ (SN 35.71)[S35:88]]

 

“santi kho, puṇṇa,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tassa taṃ abhinandato abhivadato ajjhosāya tiṭṭhato uppajjati nandī. ‘nandisamudayā dukkhasamudayo, puṇṇā’ti vadāmi ... pe ... santi kho, puṇṇa, jivhāviññeyyā rasā ... pe ... santi kho, puṇṇa, manoviññeyyā dhamm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tassa taṃ abhinandato abhivadato ajjhosāya tiṭṭhato uppajjati nandī. ‘nandisamudayā dukkhasamudayo, puṇṇā’ti vadāmi.

 

viññeyya (adj.) [grd. of vijānāti] to be recognized or apperceived (of the sense objects: cakkhu -- viññeyya rūpa, etc.)

 

뿐나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적 사유를 수반하며 매혹적인 안()으로 인식되어야 하는 색()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즐기고 환영하고 묶여 있으면 그것을 즐기고 환영하고 묶여 있는 그에게 즐김이 생긴다. ‘뿐나여, 즐김의 일어남으로부터 고()의 일어남이 있다.’라고 나는 말한다. 뿐나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적 사유를 수반하며 매혹적인 의()로 인식되어야 하는 법()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즐기고 환영하고 묶여 있으면 그것을 즐기고 환영하고 묶여 있는 그에게 즐김이 생긴다. ‘뿐나여, 즐김의 일어남으로부터 고()의 일어남이 있다.’라고 나는 말한다.

 

용례위치 - viññeyya.png

 

paṭhamasamiddhimārapañhāsuttaṃ (SN 35.48)(S35:65)

 

“yattha kho, samiddhi, atthi cakkhu, atthi rūpā, atthi cakkhuviññāṇaṃ, atthi cakkhuviññāṇaviññātabbā dhammā, atthi tattha māro vā mārapaññatti vā. atthi sotaṃ, atthi saddā, atthi sotaviññāṇaṃ, atthi sotaviññāṇaviññātabbā dhammā, atthi tattha māro vā mārapaññatti vā. atthi ghānaṃ, atthi gandhā, atthi ghānaviññāṇaṃ, atthi ghānaviññāṇaviññātabbā dhammā, atthi tattha māro vā mārapaññatti vā. atthi jivhā, atthi rasā, atthi jivhāviññāṇaṃ, atthi jivhāviññāṇaviññātabbā dhammā, atthi tattha māro vā mārapaññatti vā. atthi kāyo, atthi phoṭṭhabbā, atthi kāyaviññāṇaṃ, atthi kāyaviññāṇaviññātabbā dhammā, atthi tattha māro vā mārapaññatti vā. atthi mano, atthi dhammā, atthi manoviññāṇaṃ, atthi manoviññāṇaviññātabbā dhammā, atthi tattha māro vā mārapaññatti vā.

 

viññātabba: what should be understood. (pt.p. of vijānāti)

 

사밋디여, ()이 있고 색()들이 있고 안식(眼識)이 있고 안식(眼識)에 의해 인식되어야하는 법()들이 곳, 거기에 마라가 있고 혹은 마라라는 개념이 있다. ()가 있고 성()들이 있고 이식(耳識)이 있고 이식(耳識)에 의해 인식되어야하는 법()들이 곳, 거기에 마라가 있고 혹은 마라라는 개념이 있다. ()가 있고 향()들이 있고 비식(鼻識)이 있고 비식(鼻識)에 의해 인식되어야하는 법()들이 곳, 거기에 마라가 있고 혹은 마라라는 개념이 있다. ()이 있고 미()들이 있고 설식(舌識)이 있고 설식(舌識)에 의해 인식되어야하는 법()들이 곳, 거기에 마라가 있고 혹은 마라라는 개념이 있다. ()이 있고 촉()들이 있고 신식(身識)이 있고 신식(身識)에 의해 인식되어야하는 법()들이 곳, 거기에 마라가 있고 혹은 마라라는 개념이 있다. ()가 있고 법()들이 있고 의식(意識)이 있고 의식(意識)에 의해 인식되어야하는 법()들이 곳, 거기에 마라가 있고 혹은 마라라는 개념이 있다.

 

용례위치 - viññātabbā.png

 

 

 

Comments

아빈뇨 2021.12.18 14:20
감사합니다.
대원행 2022.04.20 22:40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5_03&wr_id=15 참조 (교리문답의 큰 경 - 초선 & 근(根)-의(意)-생명력(살아있음과 죽음의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