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함께하는 아침 독송

함께하는 아침 독송

아침독송(241031) - (SN 6.2-존중 경)[딱까(takka)의 의미 & 부처/아라한과 중생 존재의 비교] & 포살

아침독송(241031) - (SN 6.2-존중 경)[딱까(takka)의 의미 & 부처/아라한과 중생 존재의 비교] & 포살

[동영상] https://youtu.be/bdTOHLi-vJ8

 

[동영상 1645초부터 해피스님의 설명 시작]

 

어제 독송한 (SN 6.1-범천의 요청 경)(SN 6.2-존중 경)의 내용을 설명하였는데, 앞의 경이 말하는 내가 성취한 법딱까[()의 형성 과정]의 영역을 넘어섬의 의미를 설명하였습니다.

 

그런데 불교에서 진리는 사성제(四聖諦)이고, ()의 원인인 고집성제(苦集聖諦)는 애()입니다. 삶의 과정에서 애()가 생겨나면 괴로움이 생긴다는 의미인데, ()를 생겨나지 못하게 하면 괴로움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부처님의 성취는 고멸(苦滅)이어서 애()가 생겨나지 않는 삶의 실현입니다. 그런데 이 경은 그런 성취에 대해 atakkāvacaro(딱까의 영역을 넘어선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딱까(takka)는 애()가 생겨나는 영역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atakkāvacaro(딱까의 영역을 넘어선 것)은 그것을 넘어섬 즉 애()가 생겨나는 중생의 삶을 극복하여 애멸(愛滅-애가 생겨나지 않음) 즉 고멸(苦滅)을 실현하였다는 것을 지시합니다.

 

한편, 경은 존재들은 잡기를 즐기고 좋아하고 기뻐한다라고 말합니다. ()의 영역에 있는 존재들의 특성을 잡기(ālaya - attachment (to); clinging (to); (comm) craving)라는 용어로 나타냅니다. 그렇다면 존재에서 벗어난 부처/아라한은 잡기(ālaya)의 성질이 없어야 하는데, (MN 118-입출식념 경)은 놓음(paṭinissagga)과 쉼(vossagga)으로 잡기의 성질이 해소된 해탈된 삶을 설명합니다. 그리고 이런 잡기의 성질을 놓지 못한 존재들은 연기(緣起)[고집(苦集)] 열반(涅槃)[고멸(苦滅)]이라는 두 가지 토대를 보기 어렵습니다.

 

부처-아라한과 중생 존재의 비교.jpg

 

초기불교 백일법문(독송 및 개론)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219&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220

 

아침 독송에 참여하는 방법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n&wr_id=96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