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짧은 동영상(불교의 요점)

짧은 동영상(불교의 요점)

[불교의 요점 시리즈 - 아침독송(240605)] ― (MN 119-신념처경)(2)[사선(四禪) - 3가지 해석 & 몸으로 실…

[불교의 요점 시리즈 - 아침독송(240605)] (MN 119-신념처경)(2)[사선(四禪) - 3가지 해석 & 몸으로 실현(혜해탈자)](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aNPYgiBfzvc

 

1. 신념처경 후렴의 구조를 다시 설명하였습니다. ― ①재가의 삶의 삶과 연결된 기억과 사유들의 버려짐 = 위딱까-위짜라의 순일화 = 초선(初禪) = 필수품을 갖춘 바른 삼매의 성취, ()은 안으로 진정되고 가라앉고 집중되고 삼매에 들어짐 = 내적인 심()의 사마타 법의 드러남 : 현상의 영역

 

한편, 사선(四禪)은 경의 의도에 따라 3가지로 해석해야 하는데, (AN 4.41-삼매수행 경)이 말하는 지금여기의 행복한 머묾으로 이끄는 삼매수행으로의 필수품을 갖춘 바른 삼매, 이 경이 말하는 내적인 심()의 사마타에 의한 법의 드러남, 팔정도의 정정(正定)이 의미하는 삼매수행의 전 과정입니다.

 

또한, (AN 4.113-채찍 경)이 말하는 몸으로 더 높은 진리를 실현하고, 지혜로써 꿰뚫어 봄을 양면해탈자가 아니라 혜해탈자에 대한 설명이라고 해석하였는데, 이 경이 소개하는 사선(四禪)에서 개발된 느낌이 온몸에 미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4-(112-113)[께시 품2) 속도(예류자-불환자-아라한)와 인내(용서) & 몸의 실현과 지혜로써 봄](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40530)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280

 

초기불교 백일법문(독송 및 개론)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433

 

2. 전체 영상은 아침 독송(240605)입니다.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n&wr_id=1117

 

아침 독송에 참여하는 방법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n&wr_id=96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