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짧은 동영상(불교의 요점)

짧은 동영상(불교의 요점)

[불교의 요점 시리즈 - 아침독송(240617)] ― (SN 51.20-분석 경)(2)[대념처경-입출식념경 & 사여의족의 네 …

0 33 06.17 11:25

[불교의 요점 시리즈 - 아침독송(240617)] (SN 51.20-분석 경)(2)[대념처경-입출식념경 & 사여의족의 네 가지 삼매의 대응](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Xn1eyugl1XQ

 

1. 사여의족(四如意足)4가지 삼매 즉 관심-정진-()-관찰의 삼매가 대념처경의 신()-()-()-() 사념처(四念處) 또는 입출식념경의 신---법의 성취와 대응한다는 점을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수념처의 성취에 속한 4단계(5~8)1차 인식[주관 - ()]에 속한 개발된 느낌(5~6)2차 인식[주관 ()](7~8)으로 구성된 점,

 

그리고 심념처의 성취에 속한 4단계(9~12)2차 인식의 결과인 심()(9)과 개발된 느낌(10)에서 행위[주관 ()]로 이어져 법을 드러나게 하고(11) 마라의 지배력에서 풀려나는 과정(12)이며,

 

드러난 법을 대상으로 법의 위빳사나하여 여실지견을 성취하는 과정(13~16)이라고 해석하였는데, 이전의 그림을 보충하여 완성하였습니다.

(MN 118-입출식념 경)의 들숨-날숨에 대한 사띠 16단계 분석.jpg

한편, 사여의족은 4단계의 삼매에 이어 노력의 행()들이라는 후렴을 말하는데, ()과 관련한 서술에서 심행(心行)의 진정(8)과 연결하고, 빛나는 심()을 닦는다는 서술에서 내적인 심()의 사마타에 의해 법을 드러나게 하는 범위(11)를 지시한다고 이해하였습니다. 이 점에서는 신념처경의 후렴과 같다고 할 텐데 더 연구가 필요한 주제입니다.

 

다만, 이 과정이 선후의 상() 또는 광명의 상(), 낮의 상() 등을 언급한다는 점에서 혜해탈자의 과정과 차이를 가진다고 보면, 사여의족을 닦고 많이 행할 때 육신통(六神通)을 성취한다는 설명에서 혜해탈자와 차별된 수행의 과정을 이끄는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선후의 상()을 가진 자(pacchāpuresaññī)(AN 7.61-졸고 있음 경) 외에는 모두 (SN 51-여의족 상윳따)에만 나타남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5_06&wr_id=5

 

초기불교 백일법문(독송 및 개론)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449

 

2. 전체 영상은 아침 독송(240617)입니다.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n&wr_id=1128

 

아침 독송에 참여하는 방법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n&wr_id=96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