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짧은 동영상(불교의 요점)

짧은 동영상(불교의 요점)

[불교의 요점 시리즈 - 아침독송(240305)] ― (SN 22.79-삼켜버림 경)[오온의 정의 & 쌓는 삶-허무는 삶-허문…

[불교의 요점 시리즈 - 아침독송(240305)] (SN 22.79-삼켜버림 경)[오온의 정의 & 쌓는 삶-허무는 삶-허문 뒤에 서 있는 삶](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pQGGm-sEr1g

 

1. (SN 22.79-삼켜버림 경)은 전생의 기억은 오취온(五取蘊)이나 그것 중 어떤 것을 기억하는 것이라는 말로 시작해서 과거-미래-현재의 오온에 대한 대처방법을 말합니다. 그리고 바르게 대처하는 사람의 완성 과정을 설명하는데,

 

과거의 오온에 대해 갈망하지 않고, 미래의 오온을 기뻐하지 않고, 현재의 오온을 염오하고 이탐하고 소멸하기 위해 실천함 = 허물지 쌓지 않고-버리지 붙잡지 않고-풀지 묶지 않고-맛을 떠나지 맛을 즐기지 않는 삶 = 유학(有學)의 삶 여실지견(如實知見) 염오(厭惡) 이탐(離貪)

 

해탈(解脫) 해탈지견(解脫知見) = 무학(無學)의 삶 쌓지도 않고 허물지도 않고 허문 뒤에 서 있음-버리지도 않고 붙잡지도 않고 버린 뒤에 서 있음-풀지도 않고 묶지도 않고 푼 뒤에 서 있음-맛을 떠나지도 않고 맛을 즐기지도 않고 맛을 떠난 뒤에 서 있음

 

의 삶입니다.

 

그래서 범부의 삶은 오온을 쌓고 붙잡고 묶고 맛을 즐기는 삶이고, 유학의 삶은 허물고 버리고 풀고 맛을 떠나는 삶이며, 무학의 삶은 쌓고 붙잡고 묶고 맛을 즐김도 넘어서고 허물고 버리고 풀고 맛을 떠남도 넘어선 완성된 삶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오온에 대한 삶의 설명을 확고히 하기 위해 오온(五蘊) 즉 색---행들-식에 대한 부처님의 정의를 성질의 측면에서 제시합니다.

 

초기불교 백일법문(독송 및 개론)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265

 

2. 전체 영상은 아침 독송(240305)입니다.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n&wr_id=1051

 

아침 독송에 참여하는 방법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n&wr_id=96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