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불교입문(2) 사실

불교입문(2) 사실

존재(bhūta-누적된 것)의 두 방향의 용례 & 십이처

● 존재(bhūta-누적된 것)의 두 방향의 용례


1. (SN 12.12-몰리야팍구나 경) ‘viññāṇāhāro āyatiṃ punabbhavābhinibbattiyā paccayo, tasmiṃ bhūte sati saḷāyatanaṃ, saḷāyatanapaccayā phasso’”ti.


‘식식(識食)은 미래에 다시 존재(bhava)가 되어 태어남을 위한 조건이다. 그 존재(bhūta)가 있을 때 육입(六入)이 있고, 육입(六入)의 조건으로부터 촉(觸)이 있다.’


2. (MN 1-근본 법문 경) ‘nandī dukkhassa mūlan’ti — iti viditvā ‘bhavā jāti bhūtassa jarāmaraṇan’ti


‘소망(所望)은 괴로움의 뿌리다.’라고 안 뒤에 ‘유(有)로부터 생(生)이 있고, 누적된 것에게 노사(老死)가 있다.’


● 내입처와 외입처


1. (DN 33-합송경)


“cha ajjhattikāni āyatanāni — cakkhāyatanaṃ, sotāyatanaṃ, ghānāyatanaṃ, jivhāyatanaṃ, kāyāyatanaṃ, manāyatanaṃ.


육내입처(六內入處) ― 안처(眼處), 이처(耳處), 비처(鼻處), 설처(舌處), 신처(身處), 의처(意處)


“cha bāhirāni āyatanāni — rūpāyatanaṃ, saddāyatanaṃ, gandhāyatanaṃ, rasāyatanaṃ, phoṭṭhabbāyatanaṃ, dhammāyatanaṃ.


육외입처(六外入處) ― 색처(色處), 성처(聲處), 향처(香處), 미처(味處), 촉처(觸處), 법처(法處)


2. (DN 28.3-믿음을 고양하는 경, 처(處)의 개념에 대한 가르침) 


“aparaṃ pana, bhante, etadānuttariyaṃ, yathā bhagavā dhammaṃ deseti āyatanapaṇṇattīsu. 


더 나아가, 대덕이시여, 세존께서 처(處)의 개념에 대한 법을 설하신 이것은 위없는 것입니다. 


chayimāni, bhante, ajjhattikabāhirāni āyatanāni. cakkhuñceva rūpā ca, sotañceva saddā ca, ghānañceva gandhā ca, jivhā ceva rasā ca, kāyo ceva phoṭṭhabbā ca, mano ceva dhammā ca. 


대덕이시여, 여섯 가지 안팎의 처(處)들[육내입처(六內入處)와 육외입처(六外入處)]이 있는데, 안(眼)과 색(色)들, 이(耳)와 성(聲)들, 비(鼻)와 향(香)들, 설(舌)과 미(味)들, 신(身)과 촉(觸)들, 의(意)와 법(法)들입니다. 


3. (SN 35.75-쌍(雙) 경1)


“dvayaṃ vo, bhikkhave, desessāmi. taṃ suṇātha. kiñca, bhikkhave, dvayaṃ? cakkhuñceva rūpā ca, sotañceva saddā ca, ghānañceva gandhā ca, jivhā ceva rasā ca, kāyo ceva phoṭṭhabbā ca, mano ceva dhammā ca — idaṃ vuccati, bhikkhave, dvayaṃ.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쌍(雙)을 설할 것이다. 그것을 들어라.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쌍인가? 안(眼)과 색(色)들, 이(耳)와 성(聲)들, 비(鼻)와 향(香)들, 설(舌)과 미(味)들, 신(身)과 촉(觸)들, 의(意)와 법(法)들 — 비구들이여, 이것이 쌍(雙)이라고 불린다.


● 내입처(內入處) = 식(識)+근(根)


1. viññeyya [grd. of vijānāti] ― 안(眼)~의(意) 모두 인식하는(vijānāti) 자 → 안(眼)~의(意) 모두 식(識)을 포함


- (DN 21-삭까의 질문 경)/(MN 114-실천해야 할 것과 실천하지 않아야 할 것 경) cakkhuviññeyyaṃ rūpaṃ ~ manoviññeyyaṃ dhammaṃ


- (MN 18-꿀과자 경)/(MN 150-나가라윈다 경)/(MN 151-탁발음식의 청정 경) cakkhuviññeyyesu rūpesu ~ manoviññeyyesu dhammesu


- (MN 137-육처 분석 경) cakkhuviññeyyānaṃ rūpānaṃ ~ manoviññeyyānaṃ dhammānaṃ


- (MN 145-뿐나에 대한 가르침 경) cakkhuviññeyyā rūpā ~ manoviññeyyā dhammā


2. (MN 109-보름달 큰 경) 


ahaṅkāramamaṅkāramāna(나를 만들고 나의 것을 만드는 자기화) ― ①「식(識)과 함께한 이 몸과 밖의 모든 상(相)에서 나를 만들고 나의 것을 만드는 자기화(imasmiṃ ca saviññāṇake kāye bahiddhā ca sabbanimittesu ahaṅkāramamaṅkāramānā)」  


3. (SN 2.26-로히땃사 경) 


imasmiṃyeva byāmamatte kaḷevare sasaññimhi samanake


상(想)과 함께하고 의(意)와 함께하는 한 길 크기의 이 신체


4. (SN 35.129-업(業)의 소멸 경) ― 순환 구조로 누적된 것


katamañca, bhikkhave, purāṇakammaṃ? cakkhu, bhikkhave, purāṇakammaṃ abhisaṅkhataṃ abhisañcetayitaṃ vedaniyaṃ daṭṭhabbaṃ ... pe ... jivhā purāṇakammā abhisaṅkhatā abhisañcetayitā vedaniyā daṭṭhabbā ... pe ... mano purāṇakammo abhisaṅkhato abhisañcetayito vedaniyo daṭṭhabbo. 


비구들이여, 무엇이 이전의 업(業)인가? 비구들이여, 안(眼)은 이전의 업(業)이고 형성된 것, 의도된 것, 경험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 설(舌)은 이전의 업(業)이고 형성된 것, 의도된 것, 경험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 의(意)는 이전의 업(業)이고 형성된 것, 의도된 것, 경험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 (SN 35.52-우빠세나 뱀 경) ― 자기화와 육내입처


“tathā hi panāyasmato upasenassa dīgharattaṃ ahaṅkāramamaṅkāramānānusayo susamūhato. tasmā āyasmato upasenassa na evaṃ hoti — ‘ahaṃ cakkhūti vā mama cakkhūti vā ... pe ... ahaṃ jivhāti vā mama jivhāti vā ... pe ... ahaṃ manoti vā mama manoti vā’”ti. 


“오랫동안 나를 만들고 나의 것을 만드는 자기화의 잠재성향들은 우빠세나 존자에게서 그렇게 잘 뿌리뽑혔습니다. 그러므로 우빠세나 존자에게 ‘나는 안(眼)이다. 안(眼)은 나의 것이다. … 나는 설(舌)이다. 설(舌)은 나의 것이다. … 나는 의(意)다. 의(意)’는 나의 것이다.’라는 생각이 없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