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삶의 메커니즘

삶의 메커니즘

[특강] 인공지능과 마음 – 1. 삶의 메커니즘(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20501)

▣ [특강] 인공지능과 마음 1. 삶의 메커니즘(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20501)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zGkSLw-ilgc

 

인공지능의 발전 방향을 사람의 마음 또는 삶의 구현이라고 설정할 때, 마음이나 삶에 대한 있는 그대로의 앎[사실]이 전제되어야 인공지능의 발전을 위한 바른 방향이 제시될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마음과 삶에 대한 사실을 위해 니까야의 설명이 필요하다는 요청에서 진행한 수업입니다.


1. 마음은 심(心)과 의(意)와 식(識)의 세 가지가 있는데, 몸과 짝하여 나를 구성하는 것이라는 동질성 위에서 삶의 과정에 따르는 조건들에 의한 차별성을 가지는 구분입니다.


조건 관계

() - citta

() - mano

() - viññāṇa

생겨남

() - ()

with

내입처- 외입처

역할(활용)

행위

행위 + 인식

인식

삶의 질의 향상

(관리)

)의 제어

[()+관심]

제어

관심의 제어


• 심(心)-의(意)-식(識)의 이해 ― H₂O의 비유 ⇒ 답글 1 참조.

• 오온(五蘊) 또는 [식(識)과 명색(名色)]의 시각적 이해 ⇒ 답글 1 참조.


2. 심(心)-의(意)-식(識) 가운데 오온(五蘊)에 속하는 것인 식(識)이 근본이고, 심(心)은 식(識)이 상(想)-수(受)의 과정을 통해 전개된 것이고, 의(意)는 몸과 함께한 상태를 지시하므로 마음의 문제는 식(識)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1) 식(識)에 대한 이해 ⇒ 답글 2 참조.


식(識)에 대해 오염을 고려하지 않은 자체의 상태는 ‘속성이 없고, 한계가 없고, 모든 관점에서 빛나는 것’이라고 설명되는데, 몸에 종속되지 않은 식입니다. 그러나 중생들에게 식(識)은 오염 상태이고, 여기에서의 조건성인 연기(緣起)된 것인데, 몸을 의지하고 묶여있게 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식을 몸에 종속된 것이라고 오해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몸을 의지하고 묶여있지 않음 즉 몸에 종속되지 않는 식(識)에 대한 관점은 불교에서 삶을 보는 시각의 출발입니다. 유물론(唯物論) 즉 단멸론(斷滅論)과 차별되는, 삶에 대한 부처님의 시각입니다.


한편, 몸을 의지하고 묶여있는 식(識)은 오온(五蘊)을 구성하는 색(色)-수(受)-상(想)-행(行)을 인식하는 성질을 가지고, 인식의 과정에 따라서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의 육식(六識)으로 배분됩니다.

 

※ 이때, 속성이 없고, 한계가 없고, 모든 관점에서 빛나는 식(識)이 오염되었다고 보면 안 됩니다. 여기에서의 조건성 즉 연기(緣起)의 토대 위에서, 무명(無明)에 덮이고 애(愛)에 묶인 중생에게 시작점이 알려지지 않는 가운데 오염 상태로 생겨난 식(識)이 오염에서 벗어나 실현되는 열반의 토대 위에 올라선 식(識)이라고 이해해야 합니다.


; (오염 상태로 생겨남 →) 연기(緣起)된 식(識) → 속성이 없고, 한계가 없고, 모든 관점에서 빛나는 식(識) 


2) 십이처(十二處)의 구성 과정 


육식(六識)이 육근(六根)과 함께하여 육내입처(六內入處)가 되고, 십이처(十二處)[육내입처(六內入處)-육외입처(六外入處)]로 대응하는 과정 ⇒ 답글 2 참조.


3. 삶의 메커니즘


1) 인식과 행위의 순환적 연결 관계 ― 관심(chanda)과 takka[애(愛)의 형성과정] ⇒ 답글 3 참조 - 「삶의 메커니즘(1) 기본형」


2) 행위를 시발점으로 하는 세 가지 순환 구조 ― 행위에서 시작하는 세 가지 순환 고리는 1차 인식의 주관(큰 순환 고리)과 공동주관(작은 순환 고리)으로, 그리고 1차 인식에서 생겨나는 2차 인식의 주관과 객관과 함께하는 공동주관(잠재 순환 고리)으로 인식에 참여한 뒤 다시 행위로 진행하여 고(苦)와 고멸(苦滅)로 이어집니다. ⇒ 답글 3 참조 - 「삶의 메커니즘(2) 펼침형」


3) 활성존재(bhūta)[식(識)-명색(名色)]의 관점에서 몸이 무너져 죽은 뒤 다시 태어나 삶을 반복하는 중생의 영역[무명(無明)에 덮이고 애(愛)에 묶여 옮겨 가고 윤회(輪廻)하는 중생]에서 삶의 메커니즘이 완성됩니다.. 이때, 과정에 번호를 매겨주면 연기(緣起) 곧 십이연기(十二緣起)가 되는데, 불완전한 조건 관계[무명(無明)~취(取)]에서 생겨나는 불완전한 존재[유(有)-bhava]에게 생(生)-노사(老死)의 괴로움이 생겨나는 과정의 설명이고, 이것이 부처님이 설명하는 삶의 이야기입니다. ⇒ 답글 4참조 - 「삶의 메커니즘 – 십이연기(十二緣起)」


4) 불완전한 조건 관계[무명(無明)~취(取)]에서 생겨나는 불완전한 존재[유(有)-bhava]의 과정은 몸이 유지되는 범위에서는 순환됩니다. 그리고 행위 영역의 불완전[애(愛)~취(取)]은 인식의 왜곡을 초래하는데, 상(相-nimitta)입니다. 상(相-nimitta)도 인식에 맞춰 두 단계로 설명되는데, 1차 인식에서 식(識)을 생겨나게 하는 상(相-nimitta)과 2차 인식에서 심(心)을 생겨나게 하는 심상(心相-cittassa nimitta)입니다. ⇒ 답글 5 참조 - 「삶의 메커니즘 - 상(相-nimitta)의 이해」

Comments

대원행 2022.05.09 23:13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4&wr_id=28 참조 [특강] 인공지능과 마음-삶의 메커니즘 - 3[인식-기억과 심-혜 & 행위와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