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삶의 메커니즘

삶의 메커니즘

외입처 ― 밖에 실제(實際) 하는 것들

외입처 ― 밖에 실제(實際) 하는 것들


외입처는 복수 즉 색들-성들-향들-미들-촉들-법들로 나타나서 세상에 실제 하는 것들을 지시한다고 알려집니다.


[1] 외입처를 복수로 정의하는 경들


• (DN 28.3-믿음을 고양하는 경, 처(處)의 개념에 대한 가르침), (MN 112-여섯 가지 청정 경), (MN 115-많은 요소를 가진 것 경), (AN 10.60-기리마난다 경) 


1. (DN 28.3-믿음을 고양하는 경, 처(處)의 개념에 대한 가르침)


“aparaṃ pana, bhante, etadānuttariyaṃ, yathā bhagavā dhammaṃ deseti āyatanapaṇṇattīsu. chayimāni, bhante, ajjhattikabāhirāni āyatanāni. cakkhuñceva rūpā ca, sotañceva saddā ca, ghānañceva gandhā ca, jivhā ceva rasā ca, kāyo ceva phoṭṭhabbā ca, mano ceva dhammā ca. etadānuttariyaṃ, bhante, āyatanapaṇṇattīsu. taṃ bhagavā asesamabhijānāti, taṃ bhagavato asesamabhijānato uttari abhiññeyyaṃ natthi, yadabhijānaṃ añño samaṇo vā brāhmaṇo vā bhagavatā bhiyyobhiññataro assa yadidaṃ āyatanapaṇṇattīsu.

 

더 나아가, 대덕이시여, 세존께서 처(處)의 개념에 대한 법을 설하신 이것은 위없는 것입니다. 대덕이시여, 여섯 가지 안팎의 처(處)들[육내입처(六內入處)와 육외입처(六外入處)]가 있는데, 안(眼)과 색(色)들, 이(耳)와 성(聲)들, 비(鼻)와 향(香)들, 설(舌)과 미(味)들, 신(身)과 촉(觸)들, 의(意)와 법(法)들입니다. 대덕이시여, 처(處)의 개념에 대한 이것이 위없음입니다. 세존께서는 그것을 남김없이 실답게 아십니다. 그것을 남김없이 실답게 아시는 세존에게, 처(處)의 개념에 대해 더욱 실다운 지혜로써 세존을 넘어선 실답게 아는 어떤 다른 사문이나 바라문이 있을 것이어서, 추가적으로 실답게 알아야 하는 것은 없습니다. 


2. (MN 112-여섯 가지 청정 경)


“‘cha kho panimāni, āvuso, ajjhattikabāhirāni āyatanāni tena bhagavatā jānatā passatā arahatā sammāsambuddhena sammadakkhātāni. katamāni cha? cakkhu ceva rūpā ca, sotañca saddā ca, ghānañca gandhā ca, jivhā ca rasā ca, kāyo ca phoṭṭhabbā ca, mano ca dhammā ca — imāni kho, āvuso, cha ajjhattikabāhirāni āyatanāni tena bhagavatā jānatā passatā arahatā sammāsambuddhena sammadakkhātāni. kathaṃ jānato panāyasmato, kathaṃ passato imesu chasu ajjhattikabāhiresu āyatanesu anupādāya āsavehi cittaṃ vimuttan’ti? khīṇāsavassa, bhikkhave, bhikkhuno vusitavato katakaraṇīyassa ohitabhārassa anuppattasadatthassa parikkhīṇabhavasaṃyojanassa sammadaññāvimuttassa ayamanudhammo hoti veyyākaraṇāya — ‘cakkhusmiṃ, āvuso, rūpe cakkhuviññāṇe cakkhuviññāṇaviññātabbesu dhammesu yo chando yo rāgo yā nandī yā taṇhā ye ca upāyūpādānā cetaso adhiṭṭhānābhinivesānusayā tesaṃ khayā virāgā nirodhā cāgā paṭinissaggā vimuttaṃ me cittanti pajānāmi. sotasmiṃ, āvuso, sadde sotaviññāṇe ... pe ... ghānasmiṃ, āvuso, gandhe ghānaviññāṇe... jivhāya, āvuso, rase jivhāviññāṇe... kāyasmiṃ, āvuso, phoṭṭhabbe kāyaviññāṇe... manasmiṃ, āvuso, dhamme manoviññāṇe manoviññāṇaviññātabbesu dhammesu yo chando yo rāgo yā nandī yā taṇhā ye ca upāyūpādānā cetaso adhiṭṭhānābhinivesānusayā tesaṃ khayā virāgā nirodhā cāgā paṭinissaggā vimuttaṃ me cittanti pajānāmi. evaṃ kho me, āvuso, jānato evaṃ passato imesu chasu ajjhattikabāhiresu āyatanesu anupādāya āsavehi cittaṃ vimuttan’ti. tassa, bhikkhave, bhikkhuno ‘sādhū’ti bhāsitaṃ abhinanditabbaṃ anumoditabbaṃ. ‘sādhū’ti bhāsitaṃ abhinanditvā anumoditvā uttariṃ pañho pucchitabbo.


‘도반이여, 아시는 분, 보시는 분, 그분, 세존-아라한-정등각에 의해 바르게 선언된 이런 여섯 가지 안팎의 처[육내외입처(六內外入處)]가 있습니다. 어떤 여섯입니까? 안(眼)과 색(色)들, 이(耳)와 성(聲)들, 비(鼻)와 향(香)들, 설(舌)과 미(味)들, 신(身)과 촉(觸)들, 의(意)와 법(法)들 ― 이것이, 도반이여, 아시는 분, 보시는 분, 그분, 세존-아라한-정등각에 의해 바르게 선언된 육내외입처(六內外入處)입니다. 존자는 이 육내외입처(六內外入處)를 어떻게 알고 어떻게 보아서 집착 없이 번뇌들로부터 심(心)이 해탈했습니까?’라고. 비구들이여, 삶을 완성했으며 해야 할 바를 했고 짐을 내려놓았으며 최고의 선(善)을 성취했고 존재의 족쇄를 완전히 부수었으며 바른 무위의 앎으로 해탈한 번뇌 다한 비구는 이렇게 이어지는 법을 설명할 것이다. ― ‘도반들이여, 안(眼)과 색(色)과 안식(眼識)과 안식(眼識)으로 인식해야 하는 법들에 대한 관심과 탐(貪)과 소망(所望)과 갈애와 집착으로 이끄는 심(心)의 결정-경향-잠재성향들의 부서짐, 바램, 소멸, 포기, 놓음 때문에 나의 심(心)은 해탈했다고 분명히 압니다. 도반들이여, 이(耳)와 성(聲)과 이식(耳識)과 … 도반들이여, 비(鼻)와 향(香)과 비식(鼻識)과 … 도반들이여, 설(舌)과 미(味)와 설식(舌識)과 … 도반들이여, 신(身)과 촉(觸)과 신식(身識)과 … 도반들이여, 의(意)와 법(法)과 의식(意識)과 의식(意識)으로 인식해야 하는 법들에 대한 관심과 탐(貪)과 소망(所望)과 갈애와 집착으로 이끄는 심(心)의 결정-경향-잠재성향들의 부서짐, 바램, 소멸, 포기, 놓음 때문에 나의 심(心)은 해탈했다고 분명히 압니다. 도반들이여, 나는 이 육내외입처(六內外入處)를 이렇게 알고 이렇게 보아서 집착 없이 번뇌들로부터 심(心)이 해탈했습니다.’라고. 비구들이여, 그 비구에게 ‘훌륭합니다.’라고 기쁘고 감사한 말을 해야 한다. ‘훌륭합니다.’라고 기쁘고 감사한 말을 한 뒤에 이어지는 질문을 해야 한다.


3. (MN 115-많은 요소를 가진 것 경)


“kittāvatā pana, bhante, ‘āyatanakusalo bhikkhū’ti alaṃ vacanāyā”ti? “cha kho panimāni, ānanda, ajjhattikabāhirāni āyatanāni — cakkhuceva rūpā ca sotañca saddā ca ghānañca gandhā ca jivhā ca rasā ca kāyo ca phoṭṭhabbā ca mano ca dhammā ca. imāni kho, ānanda, cha ajjhattikabāhirāni āyatanāni yato jānāti passati — ettāvatā kho, ānanda, ‘āyatanakusalo bhikkhū’ti alaṃ vacanāyā”ti.


“대덕이시여, 어떤 점에서 ‘처(處)에 능숙한 비구’라고 불릴 만합니까?” “아난다여, 이런 여섯 가지 안과 밖의 처(處)들이 있다. ― 안(眼)과 색(色)들, 이(耳)와 성(聲)들, 비(鼻)와 향(香)들, 설(舌)과 미(味)들, 신(身)과 촉(觸)들, 의(意)와 법(法)들. 아난다여, 이런 여섯 가지 안과 밖의 요소를 알고 볼 때 ― 이런 점에서, 아난다여, ‘처(處)에 능숙한 비구’라고 불릴 만하다.”


4. (AN 10.60-기리마난다 경) 


“katamā cānanda, aniccasaññā? idhānanda, bhikkhu araññagato vā rukkhamūlagato vā suññāgāragato vā iti paṭisañcikkhati — ‘rūpaṃ aniccaṃ, vedanā aniccā, saññā aniccā, saṅkhārā aniccā, viññāṇaṃ aniccan’ti. iti imesu pañcasu upādānakkhandhesu aniccānupassī viharati. ayaṃ vuccatānanda, aniccasaññā.


아난다여, 무엇이 무상(無常)의 상(想)인가? 여기, 아난다여, 숲으로 가거나 나무 밑으로 가거나 빈집으로 간 비구는 이렇게 숙고한다. ― ‘색(色)은 무상(無常)하다. 수(受)는 무상하다. 상(想)은 무상하다. 행(行)들은 무상하다. 식(識)은 무상하다.’라고. 이렇게 이들 오취온(五取蘊)에 대해 무상(無常)을 이어보면서 머문다. 이것이, 아난다여, 무상(無常)의 상(想)이라고 불린다.


“katamā cānanda, anattasaññā? idhānanda, bhikkhu araññagato vā rukkhamūlagato vā suññāgāragato vā iti paṭisañcikkhati — ‘cakkhu anattā, rūpā anattā, sotaṃ anattā, saddā anattā, ghānaṃ anattā, gandhā anattā, jivhā anattā, rasā anattā, kāyā anattā, phoṭṭhabbā anattā, mano anattā, dhammā anattā’ti. iti imesu chasu ajjhattikabāhiresu āyatanesu anattānupassī viharati. ayaṃ vuccatānanda, anattasaññā.


아난다여, 무엇이 무아(無我)의 상(想)인가? 여기, 아난다여, 숲으로 가거나 나무 밑으로 가거나 빈집으로 간 비구는 이렇게 숙고한다. ― ‘안(眼)은 무아(無我)다. 색(色)들은 무아다. 이(耳)는 무아다. 성(聲)들은 무아다. 비(鼻)는 무아다. 향(香)들은 무아다. 설(舌)은 무아다. 미(味)들은 무아다. 신(身)은 무아다. 촉(觸)들은 무아다. 의(意)는 무아다. 법(法)들은 무아다.’라고. 이렇게 이들 육내외입처(六內外入處)에 대해 무아(無我)을 이어보면서 머문다. 이것이, 아난다여, 무아(無我)의 상(想)이라고 불린다.


[2] 세상에 실제 하는 것을 알려주는 경 ― 「tiṭṭhanti citrāni tatheva loke 세상에 있는 다채로운 것들은 단지 사실로서 머물 뿐」


1. (SN 1.34-있는 것이 아님 경) ― “na te kāmā yāni citrāni loke, saṅkapparāgo purisassa kāmo. tiṭṭhanti citrāni tatheva loke, athettha dhīrā vinayanti chandaṃ. 세상에 있는 다채로운 것들은 소유의 사유들이 아니다. 사람의 소유의 사유는 탐(貪)이 함께한 사유이다. 세상에 있는 다채로운 것들은 단지 사실로서 머물 뿐이고, 여기서 현명한 사람들은 관심을 제어한다.


2. (AN 6.63-꿰뚫음 경) ― “saṅkapparāgo purisassa kāmo, nete kāmā yāni citrāni loke. saṅkapparāgo purisassa kāmo, tiṭṭhanti citrāni tatheva loke. athettha dhīrā vinayanti chandan”ti 사람의 소유의 사유는 탐(貪)이 함께한 사유이다. 세상에 있는 다채로운 것들은 소유의 사유들이 아니다. 사람의 소유의 사유는 탐(貪)이 함께한 사유이다. 세상에 있는 다채로운 것들은 단지 사실로서 머물 뿐이고, 여기서 현명한 사람들은 관심을 제어한다.


Comments

대원행 2022.12.27 21:56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5_01&wr_id=83 참조 (수행경전 특강 3. 상(相-nimitta)[위치 & 영역-외입처-境-相 & 想과 相의 연결]
아빈뇨 2023.01.01 17:35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