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불교상담

불교상담

[지식iN] 사회문제를 불교사상으로 ㅡ 예를 좀 들어주세요

[질문] 사회문제를 불교사상으로 ㅡ 사회문제양상을 불교사상 중심으로 (사성제,삼법인,계정혜)를 포함해서 어떻게 적을 수 있나요??? 사회문제 추전 좀 해주세요 ㅠㅠ 그리고 연관지어서 생각 할 수 있게 예를 좀 들어주세요 내공 걸어요 ㅠㅠ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402&docId=363622242&page=1#answer1


사성제(四聖諦)는 고(苦)-고집(苦集)-고멸(苦滅)-고멸도(苦滅道)의 네 가지로 구성된 진리입니다. 사성제는 삶을 두 방향에서 설명하는데 고(苦)[괴로움-불만족]의 측면과 고멸(苦滅)[락(樂)-즐거움]의 측면입니다. 이때, 불만족은 갈애[애(愛)]를 원인으로 또는 갈애를 전후한 괴로움의 발생 과정인 연기(緣起) 즉 십이연기(十二緣起)의 과정으로 자라나고[고집(苦集)], 갈애를 부수는 또는 십이연기의 과정을 끊는 방법인 중도(中道) 즉 팔정도(八正道)의 실천[고멸도(苦滅道)]으로 소멸합니다.


삼법인(三法印)은 제행무상(諸行無常)-제행개고(諸行皆苦)-제법무아(諸法無我)인데, 세상의 원리-이치입니다. 경은 여기에 ‘열반(涅槃)은 락(樂)’이라고 설명함으로써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인 행(行)[조건적인 것]들과 락(樂)-무아(無我)인 열반(涅槃)의 차별을 알려줍니다.


팔정도(八正道)는 정견(正見)[바른 견해]으로 시작하여 정정(正定)[바른 삼매]으로 이어지는데, 바른 견해는 사성제에 대한 앎 또는 삼법인에 대한 앎입니다. 그래서 진리인 사성제 특히 팔정도는 원리-이치에 대한 바른 시각을 갖추는 데에서 시작하여 삼매를 닦아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한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ㅡ 「사성제(四聖諦)와 삼법인(三法印)의 관계」


계정혜(戒定慧)는 삼온(三蘊)[세 가지 쌓임]이라고 불리는데, 팔정도와 연결됩니다. 팔정도는 정견(正見)[바른 견해]-정사유(正思惟)[바른 사유]-정어(正語)[바른 말]-정업(正業)[바른 행위]-정명(正命)[바른 생활]-정정진(正精進)[바른 노력]-정념(正念)[사념처(四念處)]-정정(正定)[사선(四禪)]으로 정의되는데, 이 가운데 정어~정명은 계온(戒蘊)과, 정정진~정정은 정온(定蘊)과, 정견~정사유는 혜온(慧蘊)과 대응합니다. 그리고 계온(戒蘊)을 닦는 것을 계학(戒學), 정온(定蘊)을 닦는 것을 심학(心學), 혜온(慧蘊)을 닦는 것을 혜학(慧學)이라고 하여 계(戒)-심(心)-혜(慧) 삼학(三學)도 불교 사상[교리]의 중심에 있습니다. 또한, 정사유(正思惟)는 분노 않음의 사유로의 자(慈)와 비폭력의 사유로의 비(悲) 즉 자비(慈悲)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도 놓쳐서는 안 됩니다.


이런 불교 사상[교리] 위에서 사회 문제에 접근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습니다. 불교는 삶 가운데 자라나는 고(苦)의 문제를 소멸하는 가르침이기 때문에 불교 사상[교리]을 바르게 알면 문제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삶 가운데 자라나는 고(苦)의 문제는 자기 내면의 문제와 남들과의 관계의 문제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나에게 사회 문제는 두 측면 모두에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불교 사상[교리] 위에서 사회 문제에 접근하는 몇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 낙태(落胎)의 문제


십이연기에 의하면, 사람의 태어남은 어머니의 태에 드는 시점입니다. 잉태되면 이미 태어나 하나의 독립된 인격을 갖춘 것인데, 다만, 세상을 직접 만나기 위한 준비를 위해 어머니의 뱃속에서 보호받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낙태는, 엄격히 말하면, 살인입니다. 남녀 간 사랑에 의해 임신하게 되는데, 임신을 원하지 않는다면 사전에 피임에 철저해야 합니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임신이 되면, 이미 한 사람으로의 아이를 가진 어머니이고, 한 사람의 아이에 대한 책임이 있는 것입니다. 세상을 혼자 만날 수 있는 최소한의 능력을 갖출 때까지 뱃속에서 아이를 보호하는 책임이어서 출산 후 아이를 기르는 것과 같은 모성(母性)의 과정입니다. 그래서 어떤 경우에도 낙태는 옳지 않습니다.


2. 성장기의 문제


삶은 행위입니다. 행위는 그 행위의 재현을 위한 경향을 잠재시키는데, 상(想)입니다. 성장기에 보호받지 못하고 소외되어 아픔을 느끼며 자라면 그 과정에서 몸과 말과 마음으로 행위 한 것이 잠재되어 평생 행위의 경향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그래서 성장기에는 잘 보호되어야 합니다. 가족도 사회도 국가도 우리 사회의 안전하고 평화로운 미래를 위해서는 성장기의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투자에 아낌이 없어야 합니다. 부모님들의 으뜸 역할이고, 사회적 공감대 위에서 국가 또한 교육과 재활 그리고 복지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3. 장애의 문제


장애는 전생의 업 때문에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전생의 업이 안 좋으면 어머니의 태에서부터 태어나 살아가는 과정 모두에서 장애를 가지게 될 위험이 커지기는 하지만 전생의 업 때문에 장애를 가지고 태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니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해 전생에 나쁜 업을 지어서 장애를 가졌다는 편견을 가지면 안 됩니다. 어떤 경우로든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동안에 발생한 문제 때문에 장애를 가진 불편한 삶을 살고 있다는 관점에서 그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배려하여 불편을 해소해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4. 수저와 평등의 문제


부처님은 ‘업(業)을 설하는 자, 결실 있음을 설하는 자’라고 불립니다. 불교가 ‘태어남이 아니라 행위가 나의 삶을 만든다.’라는 원칙을 고수하는 맥락입니다. 이때, 나의 삶은 고(苦)와 락(樂)의 측면에서 이해해야 하는데 행복할 것인지 괴로울 것인지의 측면에서 삶은 평가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한국 사회에 수저론이 만연해 있는데 이것은 주의해야 합니다. 모두의 삶이 돈과 권력의 측면으로만 평가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각자가 자기대로의 삶에서 얼마나 행복할 수 있는지의 관점이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이럴 때, 평등의 개념도 잘 짚어봐야 합니다. 모두가 동일한 결과를 가지는 것이 평등의 의미가 아니라는 것이 불교의 입장인데, 업(業)에는 과(果)와 보가(保家)가 따르기 때문입니다. 업(業) 즉 이런 행위에는 이런 결과와 경험이 따르는 것이어서 적게 노력한 사람에게는 작은 결과가 따르고, 많이 노력한 사람에게는 큰 결과가 따르는 것입니다. 이렇게 노력에 따른 결과의 측면에서 평등이 보장될 때 누구든지 삶의 향상을 구하여 노력할 수 있고, 그 노력들이 모여서 우리 사회를 더욱 건강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5. 죽음 이후의 문제


부처님은 ‘저세상은 있다.’라고 선언합니다. 그래서 죽으면 다시 태어나 살아가야 합니다. 그래서 지금 내가 잘 사는 방법은 ‘살아서도 행복하고 죽은 뒤에는 더 좋은 삶을 이어지게 하는 행위를 하는 것’인데, 불교 교리로는 행위를 제어하여 십악업(十惡業)을 버리고 십선업(十善業)을 적극 실천하는 것입니다. 


• 십악업(十惡業) ㅡ 살생(殺生)-투도(偸盜)-사음(邪淫)-망어(妄語)-양설(兩舌)-악구(惡口)-기어(綺語)-간탐(慳貪)-진에(瞋恚)-사견(邪見)


• 십선업(十善業) ㅡ 불살생(不殺生)-불투도(不偸盜)-불사음(不邪婬)-불망어(不妄語)-불양설(不兩舌)-불악구(不惡口)-불기어(不綺語)-불간탐(不慳貪)-부진에(不瞋恚)-정견(正見)


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세상은 ‘저세상 없음’의 견해[단견(斷見)-단멸론(斷滅論)]를 강화해 가고 있는데, 이런 견해는 죽은 뒤의 삶에 대한 고려를 배제함으로써 선업(善業)을 위한 행위의 제어를 놓치게 합니다. 이럴 때 세상은 갈수록 이기적이 되고, 범죄적이 되기 쉽습니다. 부처님 가르침에 따라 견해를 바르게 하면 세상은 갈수록 포용적이게 되고, 범죄는 줄어들어 안전하고 평화롭게 될 것입니다. 


또한, 우리 사회는 고령-초고령 사회라는 용어가 말하듯이 늙어가고 있습니다. 이때, 몸의 수명이 다한 노인을 의료수단에 의해 강제로 삶을 유지시키는 것이 옳은 것인지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이미 무너진 몸을 떠나지 못하고 묶여 있는 마음이 다음 생에 미치는 영향의 측면도 고려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렇게 우선 생각나는 대로 다섯 가지 경우의 사회 문제를 불교 사상[교리] 위에서 짚어 보았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외에 다른 문제가 있을 때는 그 문제에 어울리는 불교적 해법이 제시될 것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