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불교상담

불교상담

[지식iN] 다음에서 설명하는 종교는? ㅡ [굽타왕조 / 다신교 / 영혼불멸 / 윤회사상]

[질문] 다음에서 설명하는 종교는? [굽타왕조 / 다신교 / 영혼불멸 / 윤회사상]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6&dirId=60903&docId=362178197&page=1#answer1

 

 

힌두교입니다. 현재 기독교(천주교 포함), 이슬람교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신자가 있는 종교입니다. 특히, 불교와는 전혀 다른 교리를 가진 전혀 다른 종교라는 점도 분명히 아셔야 합니다.

 

 

[추가질문] 힌두교에요??

 

역사적으로 굽타왕조는 힌두 문화가 발달한 시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힌두교는 다신교로 알려져 있지만 일신교적 측면에도 주목해야 하는데, <두산백과>힌두교는 브라만교에서 많은 신관(神觀신화를 계승하고 있기 때문에 다신교 같아 보이지만, 신들의 배후에 유일한 최고신을 설정하고 그 신들을 최고신의 현현(顯現)으로 통일시키고 있는 점에서 일신교적 형태를 취한다.라고 설명합니다.

 

영혼불멸과 윤회사상은 자아[()-atman]의 윤회라고 설명할 수 있는데, ()는 이렇게 설명됩니다. () attā/atman은 아트만-브라만에 대한 지식을 논한 힌두 문헌인 우파니샤드에 의하면, 상주적 유()[상견(常見)]여서 만물의 궁극적 근원이고 영원한 실체입니다. 유일[ekaṃ]-최초[purānaṃ]-상주[ajaṃ amṛtaṃ=불생불멸(不生不滅)]인 유()[sat]라고 설명되는데, (-sat)는 몸이 없는 것(anatmya)이고, 자아 속에 있는 만물, 만물 속에 있는 자아로서 가장 큰 것보다 크고 가장 작은 것보다 작으며, 심장 속에 머문다고 합니다. 또한, 아뜨만-브라흐만의 3대 특징으로 ()[sat] - 형이상학적 본질 생겨나지 않음[aja], ()[cit] - 인식론적 본질, ()[ānanda] - 윤리학적 본질을 들고 있습니다. <김정근 박사님의 학위 논문[2010년 동국대학교]에서 발췌>

 

 

반면에 불교는 무아(無我) 즉 존재하는 것은 모두 아()가 아니다 또는 그러므로 아()는 없다라는 정체성을 가지기 때문에 힌두교와 불교는 전혀 다른 교리를 가진 전혀 다른 종교라고 말한 것입니다.

 

 

[추가질문] 어떻게 아셨어요??

 

공부해서 알았습니다. 관심이 미치는 주제, 삶에 필요한 주제들은 공부를 통해서 바르게 알아야 합니다. 충분한 공부 없이 그저 주변의 지나가는/흘러가는 이야기에 의지하면 잘 못 알 수 있습니다. 잘 못 알면 삶은 괴로움으로 이끌리게 되지요. 공부하셔야 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