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 둘의 모음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매력 또는 염오/해방을 이어보는 두 가지 법 ― saṃyojanasuttaṃ (AN 2.6-족쇄 경)

매력 또는 염오/해방을 이어보는 두 가지 법 ― saṃyojanasuttaṃ (AN 2.6-족쇄 경)


“dveme, bhikkhave, dhammā. katame dve? yā ca saṃyojaniyesu dhammesu assādānupassitā, yā ca saṃyojaniyesu dhammesu nibbidānupassitā. saṃyojaniyesu, bhikkhave, dhammesu assādānupassī viharanto rāgaṃ na pajahati, dosaṃ na pajahati, mohaṃ na pajahati. rāgaṃ appahāya, dosaṃ appahāya, mohaṃ appahāya na parimuccati jātiyā jarāya maraṇena sokehi paridevehi dukkhehi domanassehi upāyāsehi. na parimuccati dukkhasmāti vadāmi.


비구들이여, 두 가지 이런 법들이 있다. 어떤 둘인가? 족쇄에 묶일 법들에서 매력을 이어보는 것과 족쇄에 묶일 법들에서 염오를 이어보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일 법들에서 매력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는 탐(貪)을 버리지 못하고, 진(嗔)을 버리지 못하고, 치(癡)를 버리지 못한다. 탐(貪)을 버리지 못하고, 진(嗔)을 버리지 못하고, 치(癡)를 버리지 못하면 생(生), 노(老), 사(死), 수(愁), 비(悲), 고(苦), 우(憂), 뇌(惱)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고(苦)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나는 말한다.


“saṃyojaniyesu, bhikkhave, dhammesu nibbidānupassī viharanto rāgaṃ pajahati, dosaṃ pajahati, mohaṃ pajahati. rāgaṃ pahāya, dosaṃ pahāya, mohaṃ pahāya, parimuccati jātiyā jarāya maraṇena sokehi paridevehi dukkhehi domanassehi upāyāsehi. parimuccati dukkhasmāti vadāmi. ime kho, bhikkhave, dve dhammā”ti.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일 법들에서 염오를 이어보며 머무는 자는 탐(貪)을 버리고, 진(嗔)을 버리고, 치(癡)를 버린다. 탐(貪)을 버리고, 진(嗔)을 버리고, 치(癡)를 버리면 생(生), 노(老), 사(死), 수(愁), 비(悲), 고(苦), 우(憂), 뇌(惱)에서 벗어난다. 고(苦)에서 벗어난다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이런 두 가지 법들이 있다.



● 족쇄에 묶이고 집착되는 법들에 대한 매력과 위험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


 

()

집착되는 것 또는

족쇄에 묶이는 것

집착 또는 족쇄

(SN 22.120-족쇄에 묶이는 것 경)

(SN 22.121-집착되는 것 경)

오온(五蘊)

욕탐(欲貪)

(SN 35.109-족쇄에 묶이는 것 경)

(SN 35.110-집착되는 것 경)

육내입처(六內入處)

욕탐(欲貪)

(SN 35.122-족쇄에 묶이는 법 경)

(SN 35.123-집착되는 법 경)

육외입처(六外入處)

욕탐(欲貪)



[1] 족쇄에 묶이고 집착되는 대상 ― 오온(五蘊)-육내입처(六內入處)-육외입처(六外入處)


1. 오온(五蘊) ― ①saṃyojaniyasuttaṃ (SN 22.120-족쇄에 묶이는 것 경)


“saṃyojaniye ca, bhikkhave, dhamme desessāmī saṃyojanañca. taṃ suṇātha. katame ca, bhikkhave, saṃyojaniyā dhammā, katamaṃ saṃyojanaṃ? rūpaṃ, bhikkhave, saṃyoja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vedanā saṃyoja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saññā saṃyoja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saṅkhārā saṃyojaniyā dhammā;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viññāṇaṃ saṃyoja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ime vuccanti, bhikkhave, saṃyojaniyā dhammā, idaṃ saṃyojanan”ti.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이는 법들과 족쇄를 설할 것이다. 그것을 들어라.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족쇄에 묶이는 법들이고, 무엇이 족쇄인가? 비구들이여, 색(色)은 족쇄에 묶이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수(受)는 족쇄에 묶이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상(想)은 족쇄에 묶이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행(行)들은 족쇄에 묶이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식(識)은 족쇄에 묶이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족쇄에 묶이는 법들이고, 이것이 족쇄라고 불린다.”


2. 오온(五蘊) ― ②upādāniyasuttaṃ (SN 22.121-집착되는 것 경)


“upādāniye ca, bhikkhave, dhamme desessāmi upādānañca. taṃ suṇātha. katame ca, bhikkhave, upādāniyā dhammā, katamaṃ upādānaṃ? rūpaṃ, bhikkhave, upādā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vedanā upādā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saññā upādā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saṅkhārā upādāniyā dhammā,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viññāṇaṃ upādā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ime vuccanti, bhikkhave, upādāniyā dhammā, idaṃ upādānan”ti.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과 집착을 설할 것이다. 그것을 들어라.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집착되는 법들이고, 무엇이 집착인가? 비구들이여, 색(色)은 집착되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집착이다. 수(受)는 집착되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집착이다. 상(想)은 집착되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집착이다. 행(行)들은 집착되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집착이다. 식(識)은 집착되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집착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집착되는 법들이고, 이것이 집착이라고 불린다.”


3. 육내입처(六內入處) ― ①saṃyojaniyasuttaṃ (SN 35.109-족쇄에 묶이는 것 경)


“saṃyojaniye ca, bhikkhave, dhamme desessāmi saṃyojanañca. taṃ suṇātha. katame ca, bhikkhave, saṃyojaniyā dhammā, katamañca saṃyojanaṃ? cakkhuṃ, bhikkhave, saṃyoja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sotaṃ saṃyoja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ghānaṃ saṃyoja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jivhā saṃyojaniyo dhammo. kāyo saṃyoja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mano saṃyoja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ime vuccanti, bhikkhave, saṃyojaniyā dhammā, idaṃ saṃyojanan”ti.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이는 법들과 족쇄를 설할 것이다. 그것을 들어라.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족쇄에 묶이는 법들이고, 무엇이 족쇄인가? 비구들이여, 안(眼)은 족쇄에 묶이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이(耳)는 족쇄에 묶이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비(鼻)는 족쇄에 묶이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설(舌)은 족쇄에 묶이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신(身)은 족쇄에 묶이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의(意)는 족쇄에 묶이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족쇄에 묶이는 법들이고, 이것이 족쇄라고 불린다.”


4. 육내입처(六內入處) ― ②upādāniyasuttaṃ (SN 35.110-집착되는 것 경)[SN 35.93]


“upādāniye ca, bhikkhave, dhamme desessāmi upādānañca. taṃ suṇātha. katame ca, bhikkhave, upādāniyā dhammā, katamañca upādānaṃ? cakkhuṃ, bhikkhave, upādā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sotaṃ upādā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ghānaṃ upādā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jivhā upādā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kāyo upādā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mano upādāniyo dhammo.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ime vuccanti, bhikkhave, upādāniyā dhammā, idaṃ upādānan”ti.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과 집착을 설할 것이다. 그것을 들어라.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집착되는 법들이고, 무엇이 집착인가? 비구들이여, 안(眼)은 집착되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이(耳)는 집착되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비(鼻)는 집착되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설(舌)은 집착되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신(身)은 집착되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다. 의(意)는 집착되는 법이고,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집착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집착되는 법들이고, 이것이 집착이라고 불린다.”


5. 육외입처(六外入處) ― ①saṃyojaniyadhammasuttaṃ (SN 35.122-족쇄에 묶이는 법 경)[SN 35.105]


“saṃyojaniye ca, bhikkhave, dhamme desessāmi saṃyojanañca. taṃ suṇātha. katame ca, bhikkhave, saṃyojaniyā dhammā, katamañca saṃyojanaṃ? santi, bhikkhave,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ime vuccanti, bhikkhave, saṃyojaniyā dhammā.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santi, bhikkhave, sotaviññeyyā sadd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ime vuccanti, bhikkhave, saṃyojaniyā dhammā.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santi, bhikkhave, ghānaviññeyyā gandh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ime vuccanti, bhikkhave, saṃyojaniyā dhammā.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santi, bhikkhave, jivhāviññeyyā ras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ime vuccanti, bhikkhave, saṃyojaniyā dhammā.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santi, bhikkhave, kāyaviññeyyā phoṭṭhabb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ime vuccanti, bhikkhave, saṃyojaniyā dhammā.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ṃ. santi, bhikkhave, manoviññeyyā dhamm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ime vuccanti, bhikkhave, saṃyojaniyā dhammā.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saṃyojanan”ti.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이는 법들과 족쇄를 설할 것이다. 그것을 들어라.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족쇄에 묶이는 법들이고, 무엇이 족쇄인가?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족쇄에 묶이는 법들이라고 불린다.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이다. … 설(舌)로 인식되는 미(味)들이 있다. …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의(意)로 인식되는 법(法)들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족쇄에 묶이는 법들이라고 불린다.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족쇄이다.”



6. 육외입처(六外入處) ― ②upādāniyadhammasuttaṃ (SN 35.123-집착되는 법 경)[SN 35.106]


“upādāniye ca, bhikkhave, dhamme desessāmi upādānañca. taṃ suṇātha. katame ca, bhikkhave, upādāniyā dhammā, katamañca upādānaṃ? santi, bhikkhave,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ime vuccanti, bhikkhave, upādāniyā dhammā.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santi, bhikkhave, sotaviññeyyā sadd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ime vuccanti, bhikkhave, upādāniyā dhammā.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santi, bhikkhave, ghānaviññeyyā gandh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ime vuccanti, bhikkhave, upādāniyā dhammā.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santi, bhikkhave, jivhāviññeyyā ras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ime vuccanti, bhikkhave, upādāniyā dhammā.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santi, bhikkhave, kāyaviññeyyā phoṭṭhabb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ime vuccanti, bhikkhave, upādāniyā dhammā.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ṃ. santi, bhikkhave, manoviññeyyā dhamm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ime vuccanti, bhikkhave, upādāniyā dhammā. yo tattha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n”ti.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과 집착을 설할 것이다. 그것을 들어라.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집착되는 법들이고, 무엇이 집착인가?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집착되는 법들이라고 불린다.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집착이다.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이(耳)로 인식되는 성(聲)들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집착되는 법들이라고 불린다.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집착이다.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비(鼻)로 인식되는 향(香)들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집착되는 법들이라고 불린다.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집착이다.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설(舌)로 인식되는 미(味)들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집착되는 법들이라고 불린다.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집착이다.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신(身)으로 인식되는 촉(觸)들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집착되는 법들이라고 불린다.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집착이다.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의(意)로 인식되는 법(法)들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집착되는 법들이라고 불린다. 욕탐(欲貪)이 거기에서 집착이다.”


[2] 매력을 이어보는 자와 위험을 이어보는 자 ― 고집(苦集)과 고멸(苦滅)


1. upādānasuttaṃ (SN 12.52-집착 경)


“upādāniyesu, bhikkhave, dhammesu assād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pavaḍḍhati. taṇhāpaccayā upādānaṃ; upādānapaccayā bhavo; bhavapaccayā jāti; jātipaccay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sambhav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에 대해 매력(魅力)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늘어난다.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취(取)를 조건으로 유(有)가, 유(有)를 조건으로 생(生)이,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생긴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자라난다.


“seyyathāpi, bhikkhave, dasannaṃ vā kaṭṭhavāhānaṃ vīsāya vā kaṭṭhavāhānaṃ tiṃsāya vā kaṭṭhavāhānaṃ cattārīsāya vā kaṭṭhavāhānaṃ mahāaggikkhandho jaleyya. tatra puriso kālena kālaṃ sukkhāni ceva tiṇāni pakkhipeyya, sukkhāni ca gomayāni pakkhipeyya, sukkhāni ca kaṭṭhāni pakkhipeyya. evañhi so, bhikkhave, mahāaggikkhandho tadāhāro tadupādāno ciraṃ dīghamaddhānaṃ jaleyya. evameva kho, bhikkhave, upādāniyesu dhammesu assād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pavaḍḍhati. taṇhāpaccayā upādānaṃ; upādānapaccayā bhavo; bhavapaccayā jāti; jātipaccay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sambhav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열 차 분량의 목재거나 스무 차 분량의 목재거나 서른 차 분량의 목재거나 마흔 차 분량의 목재의 큰불 무더기가 타고 있을 것이다. 거기에 사람이 때맞춰 마른 풀을 넣고, 마른 소똥을 넣고, 마른 목재를 넣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 자량과 그 연료가 있는 큰불 무더기는 오래 긴 시간 동안 탈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에 대해 매력(魅力)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늘어난다.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취(取)를 조건으로 유(有)가, 유(有)를 조건으로 생(生)이,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생긴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자라난다.


“upādāniyesu, bhikkhave, dhammesu ādīnav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nirujjhati. taṇhānirodhā upādānanirodho;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 bhavanirodhā jātinirodho; jātinirodh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nirujjh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i.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에 대해 위험(危險)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소멸한다. 애(愛)가 소멸할 때 취(取)가 소멸하고, 취(取)가 소멸할 때 유(有)가 소멸하고, 유(有)가 소멸할 때 생(生)이 소멸하고, 생(生)이 소멸할 때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소멸한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소멸한다.


“seyyathāpi, bhikkhave, dasannaṃ vā kaṭṭhavāhānaṃ vīsāya vā tiṃsāya vā cattārīsāya vā kaṭṭhavāhānaṃ mahāaggikkhandho jaleyya; tatra puriso na kālena kālaṃ sukkhāni ceva tiṇāni pakkhipeyya, na sukkhāni ca gomayāni pakkhipeyya, na sukkhāni ca kaṭṭhāni pakkhipeyya. evañhi so, bhikkhave, mahāaggikkhandho purimassa ca upādānassa pariyādānā aññassa ca anupahārā anāhāro nibbāyeyya. evameva kho, bhikkhave, upādāniyesu dhammesu ādīnav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nirujjhati, taṇhānirodhā upādānanirodho;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 bhavanirodhā jātinirodho; jātinirodh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nirujjh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ī”ti.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열 차 분량의 목재거나 스무 차 분량의 목재거나 서른 차 분량의 목재거나 마흔 차 분량의 목재의 큰 불 무더기가 타고 있을 것이다. 거기에 사람이 때맞춰 마른 풀을 넣지 않고, 마른 소똥을 넣지 않고, 마른 목재를 넣지 않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이전의 연료가 다 타버리고 다른 연료를 공급받지 못했기 때문에 자량이 없는 큰 불무더기는 꺼질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에 대해 위험(危險)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소멸한다. 애(愛)가 소멸할 때 취(取)가 소멸하고, 취(取)가 소멸할 때 유(有)가 소멸하고, 유(有)가 소멸할 때 생(生)이 소멸하고, 생(生)이 소멸할 때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소멸한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소멸한다.


2. saṃyojanasuttaṃ (SN 12.53-족쇄 경)


“saṃyojaniyesu, bhikkhave, dhammesu assād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pavaḍḍhati. taṇhāpaccayā upādānaṃ; upādānapaccayā bhavo; bhavapaccayā jāti; jātipaccay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sambhav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이는 법들에 대해 매력(魅力)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늘어난다.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취(取)를 조건으로 유(有)가, 유(有)를 조건으로 생(生)이,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생긴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자라난다.


“seyyathāpi, bhikkhave, telañca paṭicca vaṭṭiñca paṭicca telappadīpo jhāyeyya. tatra puriso kālena kālaṃ telaṃ āsiñceyya vaṭṭiṃ upasaṃhareyya. evañhi so, bhikkhave, telappadīpo tadāhāro tadupādāno ciraṃ dīghamaddhānaṃ jaleyya. evameva kho, bhikkhave, saṃyojaniyesu dhammesu assād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pavaḍḍhati. taṇhāpaccayā upādānaṃ; upādānapaccayā bhavo; bhavapaccayā jāti; jātipaccay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sambhav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기름을 연(緣)하고 심지를 연(緣)하여 기름 등불이 탈 것이다. 거기에 사람이 때맞춰 기름을 부어주고, 심지를 관리할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 자량과 그 연료가 있는 기름 등불은 오래 긴 시간 동안 탈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이는 법들에 대해 매력(魅力)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늘어난다.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취(取)를 조건으로 유(有)가, 유(有)를 조건으로 생(生)이,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생긴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자라난다.


“saṃyojaniyesu, bhikkhave, dhammesu ādīnav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nirujjhati. taṇhānirodhā upādānanirodho;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 bhavanirodhā jātinirodho; jātinirodh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nirujjh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i.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이는 법들에 대해 위험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소멸한다. 애(愛)가 소멸할 때 취(取)가 소멸하고, 취(取)가 소멸할 때 유(有)가 소멸하고, 유(有)가 소멸할 때 생(生)이 소멸하고, 생(生)이 소멸할 때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소멸한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소멸한다.


“seyyathāpi, bhikkhave, telañca paṭicca vaṭṭiñca paṭicca telappadīpo jhāyeyya. tatra puriso na kālena kālaṃ telaṃ āsiñceyya na vaṭṭiṃ upasaṃhareyya. evañhi so, bhikkhave, telappadīpo purimassa ca upādānassa pariyādānā aññassa ca anupahārā anāhāro nibbāyeyya. evameva kho, bhikkhave, saṃyojaniyesu dhammesu ādīnav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nirujjhati. taṇhānirodhā upādānanirodho;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 bhavanirodhā jātinirodho; jātinirodh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nirujjh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ī”ti.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기름을 연(緣)하고 심지를 연(緣)하여 기름 등불이 탈 것이다. 거기에 사람이 때맞춰 기름을 부어주지 않고, 심지를 관리하지 않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이전의 연료가 다 타버리고 다른 연료를 공급받지 못했기 때문에 자량이 없는 기름 등불은 꺼질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이는 법들에 대해 위험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소멸한다. 애(愛)가 소멸할 때 취(取)가 소멸하고, 취(取)가 소멸할 때 유(有)가 소멸하고, 유(有)가 소멸할 때 생(生)이 소멸하고, 생(生)이 소멸할 때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소멸한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소멸한다.


3. dutiyasaṃyojanasuttaṃ (SN 12.54-족쇄 경2)


“seyyathāpi, bhikkhave, telañca paṭicca vaṭṭiñca paṭicca telappadīpo jhāyeyya. tatra puriso kālena kālaṃ telaṃ āsiñceyya vaṭṭiṃ upasaṃhareyya. evañhi so, bhikkhave, telappadīpo tadāhāro tadupādāno ciraṃ dīghamaddhānaṃ jaleyya. evameva kho, bhikkhave, saṃyojaniyesu dhammesu assād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pavaḍḍhati. taṇhāpaccayā upādānaṃ; upādānapaccayā bhavo; bhavapaccayā jāti; jātipaccay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sambhav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기름을 연(緣)하고 심지를 연(緣)하여 기름 등불이 탈 것이다. 거기에 사람이 때맞춰 기름을 부어주고, 심지를 관리할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 자량과 그 연료가 있는 기름 등불은 오래 긴 시간 동안 탈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이는 법들에 대해 매력(魅力)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늘어난다.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취(取)를 조건으로 유(有)가, 유(有)를 조건으로 생(生)이,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생긴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자라난다.


“seyyathāpi, bhikkhave, telañca paṭicca vaṭṭiñca paṭicca telappadīpo jhāyeyya. tatra puriso na kālena kālaṃ telaṃ āsiñceyya na vaṭṭiṃ upasaṃhareyya. evañhi so, bhikkhave, telappadīpo purimassa ca upādānassa pariyādānā aññassa ca anupahārā anāhāro nibbāyeyya. evameva kho, bhikkhave, saṃyojaniyesu dhammesu ādīnav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nirujjhati. taṇhānirodhā upādānanirodho;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 bhavanirodhā jātinirodho; jātinirodh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nirujjh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ī”ti.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기름을 연(緣)하고 심지를 연(緣)하여 기름 등불이 탈 것이다. 거기에 사람이 때맞춰 기름을 부어주지 않고, 심지를 관리하지 않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이전의 연료가 다 타버리고 다른 연료를 공급받지 못했기 때문에 자량이 없는 기름 등불은 꺼질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이는 법들에 대해 위험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소멸한다. 애(愛)가 소멸할 때 취(取)가 소멸하고, 취(取)가 소멸할 때 유(有)가 소멸하고, 유(有)가 소멸할 때 생(生)이 소멸하고, 생(生)이 소멸할 때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소멸한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소멸한다.


4. mahārukkhasuttaṃ (SN 12.55-큰 나무 경)


“upādāniyesu, bhikkhave, dhammesu assād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pavaḍḍhati. taṇhāpaccayā upādānaṃ; upādānapaccayā bhavo; bhavapaccayā jāti; jātipaccay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sambhav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에 대해 매력(魅力)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늘어난다.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취(取)를 조건으로 유(有)가, 유(有)를 조건으로 생(生)이,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생긴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자라난다.


“seyyathāpi, bhikkhave, mahārukkho. tassa yāni ceva mūlāni adhogamāni, yāni ca tiriyaṅgamāni, sabbāni tāni uddhaṃ ojaṃ abhiharanti. evañhi so, bhikkhave, mahārukkho tadāhāro tadupādāno ciraṃ dīghamaddhānaṃ tiṭṭheyya. evameva kho, bhikkhave, upādāniyesu dhammesu assād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pavaḍḍhati. taṇhāpaccayā upādānaṃ; upādānapaccayā bhavo; bhavapaccayā jāti; jātipaccay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sambhav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큰 나무가 있다. 그 나무의 아래로도 뻗어있고, 옆으로도 뻗어있는 모든 뿌리는 위로 영양을 공급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 자량과 그 연료가 있는 그 큰 나무는 오래 긴 시간 동안 유지될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에 대해 매력(魅力)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늘어난다.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취(取)를 조건으로 유(有)가, 유(有)를 조건으로 생(生)이,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생긴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자라난다.


“upādāniyesu, bhikkhave, dhammesu ādīnav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nirujjhati. taṇhānirodhā upādānanirodho;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 bhavanirodhā jātinirodho; jātinirodh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nirujjh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i.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에 대해 위험(危險)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소멸한다. 애(愛)가 소멸할 때 취(取)가 소멸하고, 취(取)가 소멸할 때 유(有)가 소멸하고, 유(有)가 소멸할 때 생(生)이 소멸하고, 생(生)이 소멸할 때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소멸한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소멸한다.


“seyyathāpi, bhikkhave, mahārukkho. atha puriso āgaccheyya kuddālapiṭakaṃ ādāya. so taṃ rukkhaṃ mūle chindeyya, mūlaṃ chinditvā palikhaṇeyya, palikhaṇitvā mūlāni uddhareyya antamaso usīranāḷimattānipi. so taṃ rukkhaṃ khaṇḍākhaṇḍikaṃ chindeyya, khaṇḍākhaṇḍikaṃ chinditvā phāleyya, phāletvā sakalikaṃ sakalikaṃ kareyya, sakalikaṃ sakalikaṃ karitvā vātātape visoseyya; vātātape visosetvā agginā ḍaheyya, agginā ḍahetvā masiṃ kareyya, masiṃ karitvā mahāvāte vā ophuṇeyya nadiyā vā sīghasotāya pavāheyya. evañhi so, bhikkhave, mahārukkho ucchinnamūlo assa tālāvatthukato anabhāvaṃkato āyatiṃ anuppādadhammo. evameva kho, bhikkhave, upādāniyesu dhammesu ādīnav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nirujjhati. taṇhānirodhā upādānanirodho;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 bhavanirodhā jātinirodho; jātinirodh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nirujjh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ī”ti.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큰 나무가 있다. 그때 사람이 괭이를 가지고 올 것이다. 그는 그 나무를 뿌리에서 자를 것이다. 뿌리를 자른 뒤에 파헤칠 것이다. 파헤친 뒤에 뿌리들 심지어 잔뿌리마저 뽑아 올릴 것이다. 그는 그 나무를 조각조각 쪼갤 것이다. 조각조각 쪼갠 뒤에 산산조각낼 것이다. 산산조각낸 뒤에 파편으로 만들 것이다. 파편으로 만든 뒤에 바람과 열로 건조시킬 것이다. 바람과 열로 건조 시킨 뒤에 불로 태울 것이다. 불로 태운 뒤에 고운 재로 만들 것이다. 고운 재로 만든 뒤에 강한 바람에 날리거나 강의 거센 흐름에 흘려보낼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 큰 나무는 뿌리 뽑히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고 존재하지 않게 되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될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에 대해 위험(危險)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소멸한다. 애(愛)가 소멸할 때 취(取)가 소멸하고, 취(取)가 소멸할 때 유(有)가 소멸하고, 유(有)가 소멸할 때 생(生)이 소멸하고, 생(生)이 소멸할 때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소멸한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소멸한다.


5. dutiyamahārukkhasuttaṃ (SN 12.56-큰 나무 경2)


“seyyathāpi, bhikkhave, mahārukkho. tassa yāni ceva mūlāni adhogamāni, yāni ca tiriyaṅgamāni, sabbāni tāni uddhaṃ ojaṃ abhiharanti. evañhi so, bhikkhave, mahārukkho tadāhāro tadupādāno ciraṃ dīghamaddhānaṃ tiṭṭheyya. evameva kho, bhikkhave, upādāniyesu dhammesu assād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pavaḍḍhati. taṇhāpaccayā upādānaṃ; upādānapaccayā bhavo; bhavapaccayā jāti; jātipaccay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sambhav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큰 나무가 있다. 그 나무의 아래로도 뻗어있고, 옆으로도 뻗어있는 모든 뿌리는 위로 영양을 공급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 자량과 그 연료가 있는 그 큰 나무는 오래 긴 시간 동안 유지될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에 대해 매력(魅力)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늘어난다.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취(取)를 조건으로 유(有)가, 유(有)를 조건으로 생(生)이,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생긴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자라난다.


“seyyathāpi, bhikkhave, mahārukkho. atha puriso āgaccheyya kuddālapiṭakaṃ ādāya. so taṃ rukkhaṃ mūle chindeyya, mūlaṃ chinditvā palikhaṇeyya, palikhaṇitvā mūlāni uddhareyya antamaso usīranāḷimattānipi. so taṃ rukkhaṃ khaṇḍākhaṇḍikaṃ chindeyya, khaṇḍākhaṇḍikaṃ chinditvā phāleyya, phāletvā sakalikaṃ sakalikaṃ kareyya, sakalikaṃ sakalikaṃ karitvā vātātape visoseyya; vātātape visosetvā agginā ḍaheyya, agginā ḍahetvā masiṃ kareyya, masiṃ karitvā mahāvāte vā ophuṇeyya nadiyā vā sīghasotāya pavāheyya. evañhi so, bhikkhave, mahārukkho ucchinnamūlo assa tālāvatthukato anabhāvaṅkato āyatiṃ anuppādadhammo. evameva kho, bhikkhave, upādāniyesu dhammesu ādīnav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nirujjhati. taṇhānirodhā upādānanirodho;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 bhavanirodhā jātinirodho; jātinirodh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nirujjh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ī”ti.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큰 나무가 있다. 그때 사람이 괭이를 가지고 올 것이다. 그는 그 나무를 뿌리에서 자를 것이다. 뿌리를 자른 뒤에 파헤칠 것이다. 파헤친 뒤에 뿌리들 심지어 잔뿌리마저 뽑아 올릴 것이다. 그는 그 나무를 조각조각 쪼갤 것이다. 조각조각 쪼갠 뒤에 산산조각낼 것이다. 산산조각낸 뒤에 파편으로 만들 것이다. 파편으로 만든 뒤에 바람과 열로 건조시킬 것이다. 바람과 열로 건조 시킨 뒤에 불로 태울 것이다. 불로 태운 뒤에 고운 재로 만들 것이다. 고운 재로 만든 뒤에 강한 바람에 날리거나 강의 거센 흐름에 흘려보낼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 큰 나무는 뿌리 뽑히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고 존재하지 않게 되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될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에 대해 위험(危險)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소멸한다. 애(愛)가 소멸할 때 취(取)가 소멸하고, 취(取)가 소멸할 때 유(有)가 소멸하고, 유(有)가 소멸할 때 생(生)이 소멸하고, 생(生)이 소멸할 때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소멸한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소멸한다.


6. taruṇarukkhasuttaṃ (SN 12.57-어린 나무 경)


“saṃyojaniyesu, bhikkhave, dhammesu assād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pavaḍḍhati. taṇhāpaccayā upādānaṃ; upādānapaccayā bhavo; bhavapaccayā jāti; jātipaccay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sambhav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이는 법들에 대해 매력(魅力)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늘어난다.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취(取)를 조건으로 유(有)가, 유(有)를 조건으로 생(生)이,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생긴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자라난다.


“seyyathāpi, bhikkhave, taruṇo rukkho. tassa puriso kālena kālaṃ mūlāni palimajjeyya kālena kālaṃ paṃsuṃ dadeyya, kālena kālaṃ udakaṃ dadeyya. evañhi so, bhikkhave, taruṇo rukkho tadāhāro tadupādāno vuddhiṃ virūḷhiṃ vepullaṃ āpajjeyya. evameva kho, bhikkhave, saṃyojaniyesu dhammesu assād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pavaḍḍhati. taṇhāpaccayā upādānaṃ; upādānapaccayā bhavo; bhavapaccayā jāti; jātipaccay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sambhav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어린나무가 있다. 사람이 때맞춰 그 나무의 뿌리들을 잠기게 하고, 때맞춰 흙을 더해주고, 때맞춰 물을 줄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 자량과 그 연료가 있는 어린나무는 늘어나고 자라고 충만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이는 법들에 대해 매력(魅力)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늘어난다.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취(取)를 조건으로 유(有)가, 유(有)를 조건으로 생(生)이,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생긴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자라난다.


“saṃyojaniyesu, bhikkhave, dhammesu ādīnav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nirujjhati. taṇhānirodhā upādānanirodho;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 bhavanirodhā jātinirodho; jātinirodh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nirujjh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i.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이는 법들에 대해 위험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소멸한다. 애(愛)가 소멸할 때 취(取)가 소멸하고, 취(取)가 소멸할 때 유(有)가 소멸하고, 유(有)가 소멸할 때 생(生)이 소멸하고, 생(生)이 소멸할 때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소멸한다.


“seyyathāpi, bhikkhave, taruṇo rukkho. atha puriso āgaccheyya kuddālapiṭakaṃ ādāya. so taṃ rukkhaṃ mūle chindeyya, mūlaṃ chinditvā palikhaṇeyya, palikhaṇitvā mūlāni uddhareyya antamaso usīranāḷimattānipi. so taṃ rukkhaṃ khaṇḍākhaṇḍikaṃ chindeyya, khaṇḍākhaṇḍikaṃ chinditvā phāleyya, phāletvā sakalikaṃ sakalikaṃ kareyya, sakalikaṃ sakalikaṃ karitvā vātātape visoseyya; vātātape visosetvā agginā ḍaheyya, agginā ḍahetvā masiṃ kareyya, masiṃ karitvā mahāvāte vā ophuṇeyya nadiyā vā sīghasotāya pavāheyya. evañhi so, bhikkhave, taruṇo rukkho ucchinnamūlo assa tālāvatthukato anabhāvaṅkato āyatiṃ anuppādadhammo. evameva kho, bhikkhave, saṃyojaniyesu dhammesu ādīnav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nirujjhati. taṇhānirodhā upādānanirodho;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 bhavanirodhā jātinirodho; jātinirodh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nirujjh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ī”ti.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어린나무가 있다. 그때 사람이 괭이를 가지고 올 것이다. 그는 그 나무를 뿌리에서 자를 것이다. 뿌리를 자른 뒤에 파헤칠 것이다. 파헤친 뒤에 뿌리들 심지어 잔뿌리마저 뽑아 올릴 것이다. 그는 그 나무를 조각조각 쪼갤 것이다. 조각조각 쪼갠 뒤에 산산조각낼 것이다. 산산조각낸 뒤에 파편으로 만들 것이다. 파편으로 만든 뒤에 바람과 열로 건조시킬 것이다. 바람과 열로 건조 시킨 뒤에 불로 태울 것이다. 불로 태운 뒤에 고운 재로 만들 것이다. 고운 재로 만든 뒤에 강한 바람에 날리거나 강의 거센 흐름에 흘려보낼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 큰 나무는 뿌리 뽑히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고 존재하지 않게 되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될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에 대해 위험(危險)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소멸한다. 애(愛)가 소멸할 때 취(取)가 소멸하고, 취(取)가 소멸할 때 유(有)가 소멸하고, 유(有)가 소멸할 때 생(生)이 소멸하고, 생(生)이 소멸할 때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소멸한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소멸한다.

Comments

대원행 2022.04.25 15:08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20&sca=%EB%91%98%EC%9D%98+%EB%AA%A8%EC%9D%8C&page=2 참조 (앙굿따라 관통 법회 2 - (3-6)[태움-정근-족쇄에 묶일 법들)
대원행 2022.09.14 22:38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10_02_02&wr_id=6 참조 ( 법구경 강의 2. 불방일 품, 게송(29-32)[불방일을 기뻐하고 방일에서 두려움을 보는 비구]